몸을 지키는 적응 시스템의 중심에는 림프구라는 특화된 백혈구가 있다. 림프구는 다양한 미생물의 침입에 대응한다.
이 복잡한 시스템의 목적은 면역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다. 일단 한번 공격을 받고 나면 몸은 공격받았던 특정 유형의 각 미생물로부터는 침입을 받지 않거나 저항성을 갖게 된다.
림프절
림프절(도는 림프샘)은 몸의 방어체제에 꼭 필요하다. 림프절은 몸을 질병으로부터 보호하는 면역세포(림프구)를 생성하고 저장한다. 림프절은 온몸에 흩어져 있으며 무리 지어 분포한다. 각 림프절은 잔기둥이라는 결합조직을 경계로 구획이 나누어진 림프조직 덩어리이다.
대부분의 조직과 기관으로부터 모인 림프액은 하나 이상의 림프절 속으로 흘러들어 걸러지고 정제된 후에 정맥 속으로 유입된다. 림프는 몇 개의 작은림프관을 통해 림프절로 이동한 후에 하나의 큰 림프관으로 흐른다.
림프관에는 림프액이 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판막이 있다.
비특이적 반응
면역반응은 특정 미생물이나 그것들이 만들어 내는 독소(위해물질)에 대한 공격이다.
비특이적 반응은 미생물부터 커다란 기생충에 이르는 살아 있는 침입자들은 물론이고 물리적 상해, 화상, 동상, 부식성 화학물질 접촉, 방사능 조사 같은 모든 손상에 대해 일어난다.
핵심적인 비특이적 방어 반응은 염증이다.
손상된 조직에서 는 백혈구를 유인하는 화학물질이 분비된다. 손상부위에 분포하는 가장 가는 혈관인 모세혈관 벽의 투과성이 높아지면 백혈구, 방어용 화학물질, 체액이 통과하여 전투를 치르면서 축적된다.
백혈구는 침입한 병원체를 감싸고 삼켜서 파괴한다. 혈액은 응고되어 장벽을 만듦으로써 출혈을 막아 더 이상 병원균이 들어오지 못하게 막기도 한다
특이반응
염증 같은 비특이적 반응과 함께 일어나거나 감염이 지속될 때 뒤따라 일어난다. 특이적 방어에는 두 가지 주요 방식이 있다. 세포성 면역과 체액성 면역이 그것이다.
이들은 T림프구(T세포)와 B림프구(B세포)라는 2개의 서로 다른 림프구의 작용으로 이루어진다. B림프구는 감마글로불린이라는 단백질 항체를 만든다. 이항체는 몸의 원래 단백질과 구별되는 항원(이질성 단백질)에 반응한다.
T세포는 증식하여 병원성 세포를 공격한다.
세포성 면역
세포성 면역에는 다양한 T세포가 관여한다. 가슴샘에서 발달하기 때문에 T세포라 불린다. 일단 T세포가 항원을 인식하면 빠르게 증식하여 여러 종류로 분화한다.
도움 T세포는 B세포를 활성화하여 체액성 면역을 돕고 병원균과 조직 파편을 삼킨다.
살해 T세포는 림포카인이라는 강력한 단백질을 이용해 병원균과 그것에 감염된 모든 신체 세포를 공격한다.
억제 T세포는 병원균에 대한 다른 세포의 반응을 억제한다.
체액성 면역
T세포가 직접 병원균을 공격할 수 있는 반면 B세포는 항체라는 화학물질을 만들어 원격 공격을 한다.
항체는 대개 Y 또는 T 자 모양이다. 각 항체는 특정 병원균이나 비자기 물질에 작용하여 포면에 있는 항원에 달라붙는다. B세포는 항원을 인식하면 증식을 시작한다. 일부 B세포는 주요 항체 분비 세포인 형질 세포로 분화한다.
세포성 면역에서는 B세포에서 분화되는 기억 세포가 항원을 기억하여 몇 년이 지나도 방어가 가능하다.
도움체계
혈액 속에는 도움체계를 이루는 스무가지가 넘는 단백질과 관련 물질 또는 인자가 순환하고 있다. 돕거나 강화하는 성질을 지닌 도움체 단백질은 항체, T세포가 만들어 내는 특정한 림포카인, 세포막이나 DNA조각, 병원균과의 전투에서 생긴 부산물 등에 의해 활성화된다. 일단 도움체 반응이 시작되면 하나의 도움체 단백질이 다음 도움체 단백질을 활성화하는 식으로 연쇄반응이 이어진다. 일반적으로 도움체계는 병원균 파괴를 돕고, 병원균의 신체 세포공격을 막고, 큰포식세포 같은 백혈구의 활성을 높이고, 혈관을 넓히고, 항원항체복합체를 제거한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성 불임의 원인 - 자궁관 손상(자궁내막증), 자궁 이상(자궁근종), 자궁경부의 문제, 배란 장애 (0) | 2020.01.23 |
---|---|
자가면역질환-루푸스, 사르코이드증, 피부굳음증, 폐섬유증 (0) | 2020.01.21 |
남성 생식기관 질환 (0) | 2020.01.09 |
치매를 부르는 알루미늄 (0) | 2019.12.19 |
과민성 장 증후군 (0) | 2019.11.17 |
면역력 높이는 장 건강법, 세로토닌 건강법 (0) | 2019.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