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용접 변형(welding deformation)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아래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어요
1. 용접 순서와 방향 최적화
변형이 서로 상쇄되도록 대칭 용접을 하거나, 분할 용접(한쪽을 조금 하고 반대쪽을 이어서 하는 방식)으로 열 축적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클램프 및 고정구 사용
부재를 강하게 고정하여 용접 중 변형을 억제합니다. 단, 너무 과도하면 용접 후 응력이 남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3. 열 입력 최소화
적절한 전류, 전압, 용접 속도를 설정해 과도한 열 입력을 줄여야 합니다. 열이 적게 들어가야 변형도 적습니다.
4. 소재 두께 고려 및 설계 최적화
얇은 소재는 변형이 더 심하기 때문에 두께나 보강재를 사용하여 보강을 잡거나, 구조적으로 변형에 강한 설계를 할 수 있습니다.
5. 프리셋팅 (Pre-setting)
용접 후 발생할 변형을 예상하여 사전에 약간 거꾸로 휘어 놓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용접 시 오목하게 휘어질 걸 예상해 미리 약간 볼록하게 설정)
6. 후열처리(Post-weld heat treatment)나 Stress Relief
용접 후 잔류응력을 제거해 변형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7. 적합한 용접 방법 선택
예를 들어, TIG 용접은 열 입력이 적고 변형이 상대적으로 덜합니다.
마찰교반용접(FSW) 같이 특수 용접법을 쓰면 변형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도 있습니다.
8. 다단 패스 용접 시 층별 관리
여러 번 덧대서 용접할 경우, 각 층마다 변형을 고려해 중간중간 교정하거나 열 분산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WPS&PQR이란...... (1) | 2024.09.09 |
---|---|
스테인리스강 SUS 재질의 궁금한 점 몇 가지..SUS316L (9) | 2024.09.08 |
비파괴 검사 MT (Magnetic Particle Test)에 대한 설명 (1) | 2024.09.07 |
액체침투법(P.T) (1) | 2024.09.05 |
파괴시험과 비파괴시험법의 장점과 단점 (4) | 2024.09.04 |
시험법(파괴,비파괴,내구시험,경도테스트)에 대한 내용 기술 (8) | 2024.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