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PS와 PQR에 대해, 이론 공부를 하고 싶어 포스팅을 하게 되었다.
업무를 수행하면서 10년 넘게 조선 & 플랜트 분야에 생산관리일을 해왔지만 WPS & PQR에 대한 이론적 지식이 너무나도 부족함을 계속 느끼고 있었다.
업무 수행 시 말로만 WPS 승인되었나요? 혹시 언제 승인되었나요? 관련부서 담당자에게 그것만 물어보기 바빴고, WPS파일이 접수가 되면 WELDING MAP정도만 대략 보고, 거기서 어떤 JOINT에 어떤 용접방법이... NDE검사는 머가 적용이 되는지만 눈으로 훑기 바빴다.
내가 비록 품질관리 및 용접기술팀이 아니고, 생산관리팀 소속이다 보니, 이런 이론적인 부분이 상당히 약하기는 하고, 궁금하기도 했으나, 바쁘다는 핑계로 언젠가는 해야지! 해야지! 생각만 하고, 넘어간게 벌써 몇 년이 흘러갔고 10년이 넘은 셈이다.
나의 공부를 위해, 혹여나 내 블로그를 방문해주시는 손님들의 유익한 정보 공유를 위해, 동영상도 보고, 인터넷 카페 들어가서 찾아도 보고, 내가 이해했던 내용을 포스팅을 한다 하더라도 많이 부족할 수는 있다.
포스팅하면서 항상 적는 이야기지만 시간이 지나고, 다시 봤을 때..항상 먼가 내용이 부실하고, 부족함을 느낀다.
그렇게 되면 다시 보완해서 적든가..아님 기존 내용을 수정&보완해서 내용을 Upgrade는 반드시 해야겠다는 생각은 아직 변치 않다.
그 시간이 얼마나 지나야하는거는 나도 알 수가 없고, 그 누구도 예측을 할 수 없다.
서론이 너무 길었던 것 같다. WPS & PQR에 대해, 내가 공부하고 학습했던 내용을 아래와 같이 기술하려 한다.
먼저 WPS에 대한 설명을 하겠다.
WPS는 말 그대로 용접절차서 or 용접절차시방서이며, 영어 약자를 풀어서 설명하자면 Welding Procedure Specification이며, Code 요구사항에 맞는 용접이 잘 나올 수 있게 용접봉 종류/사이즈, 예열 유. 무, 예열온도, 가스, 후열처리 유. 무, 온도, 전류/전압, 용접 자세, 기법 등 들이 적혀있는 절차 시방서이다.
WPS 적용되는 코드는 압력용기 및 배관의 경우 ASME 섹션 IX 적용, 조선의 경우 선급이 정해놓은 룰을 적용하여 만들어도 된다.
WPS 승인을 받을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
1. 먼저 pWPS라고 WPS 승인 전 사전 자체적으로 적용하여 만든 WPS인데, 이게 실제 TEST 하여, 만들기도 하고, 기존 WPS를 참고해서 만들기도 한다. 이 것이 관련기관(선급 등)에 제출되고 문제가 없다면 다음 단계인 WPQT 진행을 승인하게 된다.
2. WPQT란 용접사 테스트인데, 관련기관 입회하에 이뤄진다. 이 시편테스트 결과가 기준치 이내 든다면 테스트를 진행한 용접사는 해당 자격을 취득하게 된다.
3. 그 다음 PQR의 설명인데 PQR은 WPQT에 대한 기록을 해놓은 기록지라고 볼 수 있다.
용접봉은 멀 썼고, 시험 쳤을 때 사용했던 모재 두께, 종류, 용접 시 전류와 전압이 어떻게 되었고, 가스 등 이런 것들을 기록을 한다.
WPQT 합격 후 거기에 맞는 PQR 기준으로 WPS를 다시 작성해서 승인을 받는다.
4. Mechanical Test
PQR 기록하기 전 WPQT후 물성 테스트를 진행한다. 말 그대로 용접이 똑바로 되었는지, 안되었는지를 확인하는 테스트이다.
테스트는 인장, 굽힘, 경도 등을 시행한다.
5. WPS 승인
PQR을 기준으로 WPS를 작성해서, 관련기관에 승인을 받으면 WPS는 해당 용접법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서로써 자격을 갖추게 된다.
PQR에 TEST 시 적용된 DATA를 WPS 작성 시 그 DATA에 대한 허용범위를 정해서, 작성을 한다.
예를 들어 WPQT시 모재 두께를 5T를 써서, 용접 TEST후 합격이 되었다면 PQR은 5mm, WPS 작성 시 3~10mm 등으로 용접이 가능하게끔 Range를 정해서 작성을 한다.
WPS& PQR에 대한 이론을 이해한대로 적어보았다. 아무리 보고 또 봐도 부족함이 느껴지지만, 더 이상 적을 수 있는 지식이 없기에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마무리하고, 추후 시간이 지나서 경험과 지식이 쌓이면 이 포스팅을 다시 보고, 보완을 할 것이라 반드시 다짐한다.
'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접 변형에 대해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이 있을까? (0) | 2025.05.13 |
---|---|
스테인리스강 SUS 재질의 궁금한 점 몇 가지..SUS316L (9) | 2024.09.08 |
비파괴 검사 MT (Magnetic Particle Test)에 대한 설명 (1) | 2024.09.07 |
액체침투법(P.T) (1) | 2024.09.05 |
파괴시험과 비파괴시험법의 장점과 단점 (4) | 2024.09.04 |
시험법(파괴,비파괴,내구시험,경도테스트)에 대한 내용 기술 (8) | 2024.09.02 |